현 시점의 화성은 건조한 지표가 펼쳐져 있고, 거센 모래폭풍이 몰아치는 가혹한 환경이지만, 아주 오래전에는 생명에게 중요한 물이 풍부한 행성이었다고 생각되어지고 있는데, 중국의 화성 탐사 로버 축융호가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연구에서는, 화성의 지하에 태고의 「해안선」이라고 생각되는 특징이 있는것으로 판명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화성에는 과거 물이 풍부하게 존재했다는 증거가 여러 가지 발견되었고, 태양계 최대 화산이기도 한 화성의 올림포스 산에는 '물의 서리'가 내린다는 사실도 보고되었다.
새롭게 중국과 미국 연구팀은, 2021년 활동을 시작한 중국의 화성 탐사 로버인 축융호가, 화성 북반구에 있는 유토피아 평원에서 수집한 지중 관측 데이터를 분석. 축융호에는 지중 레이더가 탑재되어 있고, 밀도가 다른 물질에서는 전파의 튕김이 다른 것을 이용해, 표면으로부터 최대 80m 지하의 암석층을 조사할 수 있다고 한다.
연구팀이 축융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화성 지하에는 '태고의 해안선'으로 보이는 구조가 묻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토피아 평원 지하에서 발견된 구조는, 퇴적물의 두꺼운 층이 15도 각도로 위로 경사진 것이며, 이는 지구에 있는 해안선과 비슷한 구조라고 연구팀은 밝혔으며, 논문의 공저자이자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지구물리학자인 마이클 씨는, "구조물은 모래언덕처럼 보이지도, 충돌 크레이터처럼 보이지도 않고 용암류 같지도 않다. 그래서 우리는 바다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습니다'라고 말한다.
아래 그림은, 'A'가 축융호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태고의 해안선 이미지로, 'B'가 바다가 없어지면서 해안선이 묻힌 후의 구조 이미지이다.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422213122구조의 특징은, 퇴적물을 운반해 오는 강이나 파도, 그리고 밀물이 있었음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퇴적물이 형성되는 데는 시간이 걸리고, 호수만큼의 작은 웅덩이로는 충분한 파도와 조수가 밀릴 수 없다는 점으로부터, 관측 데이터는 수백만 년 이상에 걸쳐 물 순환이 있는 바다가 화성에 존재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이클 씨는 과학계 매체 Science Alert와의 인터뷰에서, "수역이 크면 클수록 밀물이 커질 수 있고 바람이 더 큰 파도를 만들기 위한 공간과 시간이 늘어납니다. 큰 조수의 밀물과 파도가 모래사장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 것입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아래의 그림은, 지구상에서 해안이 어떻게 퇴적되는지를 나타낸 것으로, 'Foreshore(마에하마)'란 고조시의 해안선인 'High-tide level(고조선)'과 저조시의 해안선인 'Low-tide Level(저조선)' 사이에 생기는 물속에 가라앉거나, 물 위로 나가기를 반복하는 곳에 퇴적하는 해변을 말하는데, 이와 비슷한 해안선이 화성 지하에서도 발견되었다는 것.
https://www.pnas.org/doi/10.1073/pnas.2422213122마이클 씨는, "바다는 행성에 중요합니다. 기후에 큰 영향을 미쳐 행성 표면을 형성하고, 생명이 거주 가능한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해안선은 과거 생명의 증거를 찾기에 최적의 장소입니다"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