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적 접근을 할 때는 "장소"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IT Search
0

 누군가 신경 쓰이는 사람에게 접근할 때, '멋진 바'나 '야경이 예쁜 레스토랑' 등, 이야기를 꺼내는 장소도 고집한다는 사람들이 있는데... 실제로, 미국·캔자스 대학의 연구팀이 실시한 연구에서는, 연애적인 어프로치의 성공 여부는 「어프로치를 거는 장소」에 크게 좌우된다는 것이 알려졌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누군가의 행동을 판단할 때에 「장소」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알려져 있었지만, 연애적인 접근에 있어서의 장소의 중요성에 대해서, 체계적인 연구는 별로 행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연구팀은, 사람들이 '연애적인 접근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장소를 조사하고, 그것들이 상대의 매력이나 친밀도, 접근의 내용과 같은 다른 요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최초의 탐색적 조사(연구 1a)로, '연애적인 접근에 적절하거나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장소'를 나열하도록 35명의 피험자에게 요구했으며, 그 결과, 「만남 앱」, 「바」라고 하는 예상대로의 장소부터, 「식료품점」, 「대중교통」 등 의외의 장소까지, 다양한 장소가 리스트 업 되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목록을 바탕으로 48개의 다른 장소를 좁혔다는 것.


다음 추적 조사(연구 1b)에서는, 연구 1a에서 나열한 48개의 장소를 162명의 피험자에게 보여주고, 연애적인 접근에 적절한지 5단계로 평가받았는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각 장소를 '적절성이 높다', '적절성이 중간 정도', '적절성이 낮다'는 세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 적절성이 높은 장소에는 '만남 앱', '바', '개인 자택' 등이 있었고, 중간 정도의 장소에는 '헬스장', '온라인 게임 공간', '보도' 등, 적절성이 낮은 장소에는 '직장', '진료소', "장례식장"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주요 실험은 세 가지 파트(연구 2a·연구 2b·연구 2c)로 나누어졌으며, 각 실험에서는 장소의 적절성이 연애적 접근의 성공 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조사되었다. 어느 실험에서도, 피험자는 「선택된 어느 장소에서, 누군가가 연애적인 흥미를 가지고 어프로치 해 왔다」라고 하는 가공의 시나리오를 상상하도록 요구되어, 다음에 그 어프로치를 받아들일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지를 평가.



연구 2a에서는, 접근하는 인물의 매력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는데, 피험자는 다양한 장소 중 하나에서 매력적인 사람 또는 매력적이지 않은 사람이 접근해 왔다는 시나리오를 읽었고.. 그 결과, 확실히 상대의 매력은 접근법을 받아들일 가능성을 높였지만, 그 영향은 장소에 따라 좌우되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바'처럼 적절성이 높은 장소에서 접근했을 경우, 피험자는 매력적인 상대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한다고 대답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접근해 온 것이 '진료소' '장례식장' 등 적절성이 낮은 장소였을 경우, 매력에 의한 이점은 사라졌다는 것.


연구 2b에서는, 접근하는 인물과의 친밀도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조사했는데, 피험자는 다양한 장소에서 이성의 친한 친구 또는 낯선 인물이 접근한 시나리오를 읽고, 어떻게 반응할지 응답. 일반적으로 친밀도는 접근 성공률에 소소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접근 장소가 부적절하다고 이성의 친한 친구는 그다지 선호하는 평가를 받지 않았다. 이 결과에 대해서는, 피험자가 「친한 친구라면 더 좋은 장소를 선택할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보여지고 있으며, 또 흥미롭게도 여성은 남성에 비해 이성 친한 친구의 접근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이 적었다는 것. 이것은 아마 친구 관계의 경계를 넘는 것에 대한 인식의 성차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연구 2c에서는, 접근법의 내용 자체가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되었는데, 피험자들은 다양한 장소에서 '저녁 식사에 초대하기(너무 성적으로 노골적이지 않은 접근)' 또는 '내 집으로 오라고 권유하기(성적으로 노골적인 접근)'를 받은 시나리오를 읽었으며, 이 시나리오에서도 역시 장소는 일관되게 중요하며, 두 가지 유형의 접근 방식 모두 적절성이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면 성공률이 높아졌다.


일련의 연구에서는, 장소·어프로치의 종류·피험자의 성별 사이에, 유의한 상호작용이 떠올랐으며, 여성은 모든 곳에서 덜 성적인 접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적절성이 낮은 곳에서는 더욱 성적인 접근을 거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한 남성도 부적절한 장소에서 성적인 접근을 할 경우, 받아들일 가능성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세 가지 실험 모두에서, 장소의 적절성이 접근법의 성공을 예측하는 일관된 요인으로 떠올랐고, 많은 경우에서 다른 변수보다 강력했는데, 물론 매력·친밀도·접근법의 내용 등도 성공률에 영향을 미쳤지만, 이들 모두 사회적으로 부적절한 장소에 있는 것의 영향을 극복하지 못했다.



덧붙여, 이번 연구에 있어서의 제한으로서는, 어디까지나 가공의 시나리오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세계의 행동을 완전히 반영한 것은 아니라고 하는 점을 들 수 있으며, 또, 피험자는 주로 미국의 대학이나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의 Amazon Mechanical Turk로 모집되었기 때문에, 다른 집단이나 문화에서는 같은 결과가 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심리학계 매체 PsyPost는,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현실적인 사회 환경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VR을 이용하거나, 실제 환경에서 관찰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이러한 한계에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주위 소음과 군중 밀도, 방관자 존재 등 교제 시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의 다른 측면을 살펴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코멘트.

댓글 쓰기

0댓글

댓글 쓰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