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Deepmind와 Google Research가, 미국 국립허리케인센터와 협력해, 태풍 예측을 하는 'Weather Lab(웨더랩)'을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태풍과 허리케인, 사이클론은 지난 50년간 1조4000억달러 규모의 경제적 손실을 야기했는데, 피해를 막기 위해 진로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기의 약간의 상태 변화로도 진로가 바뀌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Google DeepMind와 Google Research에 의해 발족한 웨더 랩은, 확률적 신경망의 최신 모델에 근거하는 최신의 실험적 AI 기반의 열대 저기압 모델을 갖추고 있고, 태풍의 형성·궤도·강도·크기·형상 등, 최대 15일 앞까지 50가지의 시나리오를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사내 테스트에서는, 웨더랩에 의한 태풍의 진로와 강도 예측은, 현재 물리학에서의 기법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정확도임을 보여주었다는 것.
다음은 웨더랩의 모델이 진행한 진로 예상(파란색 선)과 실제 사이클론이 따라간 궤도(검은 선)를 나타낸 애니메이션. 이미지 내 왼쪽 아래 마다가스카르 섬 남쪽에서 발생한 사이클론 '홍대'와 '가랑스'의 진로에 대해서는 상당히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할 수 있고, 또, 이미지 우측에서는 인도양에서 며칠 후에 발생하는 사이클론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있다.
호주에서 발생한 사이클론 '알프레드'에 대해서는, 급속히 세력을 약화시켜 열대폭풍우가 되어 브리즈번 인근에 상륙할 수 있다는 예측을 적중시켰다는 것.